확대 l 축소

제주시, 양돈 맞춤형 축산환경관리 매뉴얼 수립·농가 지도에 활용


제주시에서는 시민과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축산환경관리 매뉴얼'을 수립해 농가 지도에 활용한다고 밝혔다.

그간 축산농가의 악취저감을 위한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농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악취의 원인과 정확한 해결방안을 진단하는 데 농가 스스로도 어려움을 호소해왔다.

이에 제주시는 농장 유형별 환경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관리지침서를 마련했다.

해당 매뉴얼은 악취저감 및 가축분뇨 적정처리와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양관리의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구성은 냄새저감과 양돈 사양관리를 중심으로 축산악취, 가축분뇨 자원화, 사양관리, 돈사시설 배치 등 4개 부문으로 이뤄졌다.

특히 농가에서 실제 활용하기 용이하도록 개별 농장환경에 적합한 관리 방법을 구체화하고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수록했다.

매뉴얼의 주요 내용은 축산악취의 근원지 및 발생 원인과 잘못된 사례, 축사 내·외부 분뇨처리시설 및 폐사축 처리시설의 악취 저감 방안들을 제시했다.

또 냄새 없는 친환경 퇴비, 액비 생산을 위해 발효 요건, 방법 및 공정 등 가축분뇨 적정 처리방안도 세부적으로 포함했다.

아울러 양돈장의 사양관리를 통한 환경개선 및 폐사율 감소에 따른 악취저감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양돈장 운영의 표준모델을 정립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22년부터 농장 유형별·맞춤형 매뉴얼을 활용한 체계적인 양돈장 악취저감 현장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농가의 역량을 강화하는 등 성공적인 악취 저감 모델을 정착시켜 나갈 예정”이라며, “표준화된 관리 매뉴얼을 농장에 맞게 적용하여 악취 없는 깨끗한 축산농장을 조성한다면 도민 신뢰 회복은 물론 지속가능한 양돈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제주도 제주시]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