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보고서 발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https://www.kistep.re.kr/) 2019114일에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보고서(중간평가)’를 발간하였다.

이번 평가는 과학기술기본법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성과평가법’)’에 의거하여 추진된 것이며, 17개 부처 99개 국가연구개발 세부사업(’17년 예산 43,347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연구개발사업 중 3년 평가주기가 도래한 사업을 선정하되,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일부 소액사업 등은 평가에서 제외되었다.

적절성 점검에서 총 17개 부처 상위평가 대상 99개 중 3개 부처 9개 사업의 자체평가는 적절’, 17개 부처 90개 사업의 자체평가는 부적절판정을 받았으며, 적절성 점검 통과 사업 비율은 과거 5개년 평균(9.6%)대비 큰 변동은 없었고, ’17(13.8%)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성 점검 결과>

구분

’13

’14

’15

’16

’17

’18

상위평가대상수

83

109

92

103*

58

99

적절사업수

9

8

6

-

8

9

통과비율(%)

10.80%

7.30%

6.50%

-

13.80%

9.10%

* ’16년도는 통합재정사업평가로 수행되어 적절성 점검을 수행하지 않음



상위평가의 최종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대상사업 평균점수는 76.0점으로 과거 ’17(72.6)보다 약간 상승(3.4)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급별 분포를 보면, 우수 27(27.3%), 보통 69(69.7%), 미흡 3(3.0%)였는데, 이는 과거 2개 년도(’15, ’17) 대비 우수 사업 비율이 증가(13.5%)하였고, 미흡 사업 비율은 감소(8.9%)한 것이다.

<평가등급 분포>

구분

사업수

(비율)

우수 이상

보통

미흡 이하

평균()

‘15

자체

92

(100%)

27

(29.3%)

59

(64.2%)

6

(6.5%)

78.2

상위

8

(8.7%)

70

(76.1%)

14

(15.2%)

70.9

‘16

자체

103

(100%)

11

(10.7%)

61

(59.2%)

31

(30.1%)

85.4

상위

8

(7.8%)

67

(65.0%)

28

(27.2%)

81.5

‘17

자체

58

(100%)

36

(56.2%)

25

(39.1%)

3

(4.7%)

83.9

상위

11

(19.0%)

42

(72.4%)

5

(8.6%)

72.6

‘18

자체

99

(100%)

68

(68.7%)

31

(31.3%)

-

83.5

상위

27

(27.3%)

69

(69.7%)

3

(3.0%)

76



세부 평가결과로서 부처별 등급을 확인해 보면, 평가 대상사업이 많은 부처는 과기정통부(23), 산업부(23), 해수부(9), 농진청(6) 순이었으며 등급은 다음과 같았다.

과기정통부 : 우수 9(39.1%), 보통 12(52.2%), 미흡 2(8.7%)

산업부 : 우수 3(13.0%), 보통 20(87.0%)

해수부 : 우수 3(33.3%), 보통 6(66.7%)

농진청 : 우수 2(33.3%), 보통 4(66.7%)

확인점검 대상사업(99)의 상위평가 평균은 76.0점으로 자체평가 평균 83.5점 대비 7.5점 감소하였고, 일반사업의 각 지표별 만점을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성과목표 달성도가 94.3점으로 가장 높고, 종합적 성과분석 74.5, 대표성과 72.1, 종합적 연구성과 59.2점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장비사의 경우, 각 지표별 만점을 100점으로 환산 시, 성과목표 달성도가 86.9점으로 가장 높고, 사업관리2(모니터링 및 개선) 77.8, 사업관리1(시설장비의 구축 및 등록) 66.7점 순으로 나타났다.





  • 글쓴날 : [2019-02-19 17:27:24.0]

    Copyrights ⓒ Academic Times & www.actimesnew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